top of page
Altiall_WarehouseAutomation_4-WayShuttle_ASRS_PalletShuttle_62.png

Pioneering Comprehensive Service in Smart Warehousing Solutions

Solution 1

​R-Bot + H-Bot Dense Storage System

R-bot + H-bot 고밀도 저장 시스템은 전체 팔레트 입출고 또는 소량의 피킹 입출고 시나리오에 적합합니다. 스태커 크레인 AS/RS와 비교했을 때 저장 밀도와 종합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며, 높은 효율성, 고밀도, 높은 유연성, 신속한 납기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최대 저장 밀도와 공간 활용률 향상을 추구하는 고객에게 최적의 선택입니다. 

적용 시나리오

  • 소량의 SKU가 있는 상황에 이상적

  • 대량 저장 필요

  • ​고밀도 저장 요구

적용 산업

​식품, 제조, 콜드체인, 에너지, 3PL, 화학, 건축 자재, 가전 제품

구성

R-bot

H-bot

PTP

Conveyors/AMRs

Pallet Racks

Solution 2

​U-Bot Storage System

​이 시스템은 전체 팔레트 입출고 뿐만 아니라 개별 피킹 입출고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, 다른 균형 중량 스태킹 AGV와 비교했을 때 종합 효율성이 30% 증가합니다. 매우 좁은 통로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며, 배치가 용이하고 빠른 납기가 가능합니다. 이는 전통적인 수동 지게차 창고 개조 시 저장 밀도를 높이고자 하는 고객에서 최적의 선택입니다. 

적용 시나리오

  • 전체 팔레트 입출고에 이상적

  • 전체 팔레트 입고 / 부분 팔레트 출고

  • ​혼합 컨테이너 취급

적용 산업

3PL, 소매, 제조, 전자상거래, 콜드체인, 에너지 및 관련분야

구성

U-bot

PTP

Pallet Racks

Solution 3

​U-Bot + R-Bot Dense Storage and Picking System

U-bot과 R-bot은 "전방 버퍼링 및 후방 저장" 작업에서 결합됩니다. U-Bot은 엘리베이터 / 컨베이어라인 / AGV 등의 다양한 장비 기능을 대체하며, 개별 4-Way 셔틀 창고와 비교했을 때 피킹 효율성과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. 이는 보관 밀도와 피킹 효율성을 그대화 하려는 고객에게 최적의 선택입니다. 

적용 시나리오

  • 제한된 SKU 수가 있는 상황에 적합

  • 높은 피킹 효율성 요구

  • ​대량 저장 및 고밀도 저장

적용 산업

식품, 전자상거래, 소매, 제약, 신발 및 의류, 3PL, 콜드체인, 에너지, 기타 관련 분야

구성

U-bot

R-bot

H-bot

PTP

Conveyors/AMRs

Pallet Racks

당신에게 적합한 솔루션을 선택하세요. 

Solution
R-bot+H-bot 고밀도 보관 시스템
U-bot 보관 시스템
U-bot+C-bot 보관 및 피킹 시스템
U-bot+R-bot 고밀도 보관 및 피킹 시스템
제품 구성
R-bot + H-bot
U-bot
U-bot + C-bot
U-bot + R-bot (+H-bot)
시스템 특징
고밀도 보관
고효율, 좁은 통로, 쉬운 배치, 빠른 배송
초고효율, 좁은 통로, 쉬운 배치, 빠른 배송
고효율, 고밀도 보관, 높은 재고
적용 창고
창고 순 높이 ≤ 30m
창고 순 높이 ≤ 10m
창고 순 높이 ≤ 10m
창고 순 높이 ≤ 30m
적용 시나리오
SKU 수: 적음 보관 밀도: 높음 입출고 효율: 높음 피킹 효율: 평균
SKU 수: 비교적 많음 보관 밀도: 비교적 높음 입출고 효율: 비교적 높음 피킹 효율: 비교적 높음
SKU 수: 많음 보관 밀도: 비교적 높음 입출고 효율: 높음 피킹 효율: 높음
SKU 수: 중간 보관 밀도: 높음 입출고 효율: 비교적 높음 피킹 효율: 높음
적용 산업
식품, 제조업, 콜드 체인, 에너지, 3PL, 화학, 건축 자재, 가정용 가구 등
3PL, 소매업, 제조업, 전자상거래, 콜드 체인, 에너지 등
전자상거래, 제조업, 신발 등
식품, 전자상거래, 소매업, 제약, 의류, 3PL, 콜드 체인, 에너지 등
투자 강도
비교적 높음
낮음
비교적 낮음
높음
bottom of page